스마트팜 와사비 재배 기술과 산업 전망 –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

스마트팜 와사비 재배는 단순한 농업을 넘어 첨단 기술과 접목되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직 배양 기술을 활용한 연중 재배 시스템은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농업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최초로 와사비 조직 배양 기술을 도입한 이종태 대표의 사례를 통해 와사비 재배 기술과 산업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스마트팜 와사비

스마트팜 와사비 재배의 핵심 기술

✅ 적정 온도와 재배 환경

  • 현재 와사비 재배 온도는 17.4도로 유지됨.
  • 재배 기간은 약 8개월째 진행 중이며, 분화된 식물이 다수 성장 중.
  • 전체 재배 면적 50평, 공조 시스템과 유동 팬을 활용한 공적 재배 시스템 운영.

이 재배 기술은 20년 전 최초 개발되었으며, 일본, 오스트리아, 호주 등 해외에서 견학이 이루어질 만큼 주목받고 있습니다.

✅ 조직 배양 기술을 활용한 연중 재배

  • 조직 배양 묘를 통해 검역 문제 없이 해외 시장 진출 가능.
  • 현재 태국과 계약 체결 완료.
  • 와사비 전용 양액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는 사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
  • 흙을 사용하는 일반 농업은 검역 문제로 수출 불가능, 조직 배양 방식은 무균 상태로 검역 영향 없음.

스마트팜 와사비

와사비와 쌈채 재배의 현대적 접근

✅ 수확 주기 및 품질 관리

  • 쌈채는 10~15일 간격으로 수확, 와사비 근경은 약 14개월 후 수확 가능.
  • 품질 좋은 묘는 빠르게 수확 가능하지만, 약한 묘는 시간이 더 필요.
  • 국내에서는 새싹 형태로 재배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수익성이 높음.

✅ 에어로포닉 시스템 활용

  • 분무 방식으로 물 공급, 최첨단 수경재배 시스템.
  • 양액 시설을 통해 여러 작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 냉난방기만으로는 부족, 공조기와 유동 팬으로 최적의 환경 유지.
  • 수확 시 평균 80g 무게의 최상품 와사비 생산.

와사비 수확물의 가치와 산업적 활용

✅ 상품화 전략

  • 와사비는 다양한 음식과 어울리는 고부가가치 식재료.
  • 부산물도 식품, 화장품 산업에 원료로 활용 가능.
  • 현재 다이어트 식품으로의 상품화 진행 중.

✅ 일본 및 해외 시장 동향

  • 일본 내 와사비 식물 공장 부재, 한국 기술력이 일본으로 전수되는 상황.
  • 일본은 고령화와 지역 소멸 문제로 인해 와사비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에서 한국산 와사비의 안전성을 높게 평가하고 협력 논의 진행 중.

 와사비 산업의 미래 가능성

  • 청년 창업 및 시니어 창업 기회 제공.
  •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 소득 창출 가능.
  • ICT 기반 스마트 농업 모델과 접목해 다양한 사업 모델 개발 가능.
  • 외식업, 식품 가공, 테마파크, 해외 수출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다짐

이종태 대표는 지속 가능한 농업 환경 조성을 목표로 와사비 재배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농업을 사업화하려는 이들에게 명확한 판단 기준을 가질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더 맣은 참고 자료 확인하세요.

스마트팜 버섯 재배

스마트팜 성공사례 

Leave a Comment